2020년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 사업화지원 창업기업 모집 공고
사업개요
창업도약기(3~7년) 기업의 혁신성장 및 스케일업 등 성과 창출을 위하여 스케일업 플랫폼, 혁신성장 플랫폼, R&D 연계 분야의 사업화 자금 및 특화프로그램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.
☞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제2조 제1호 및 2호에 따른 창업기업의 대표자로서 모집공고일 현재 창업 3년 이상 7년 이내인 자
☞ 최대 2억원 ~ 4억원 지원
지원분야 및 대상
ㅇ 신청자격
– 「중소기업창업 지원법」 제2조 제1호 및 2호에 따른 창업기업의 대표자로서 모집공고일 현재 창업 3년 이상 7년 이내인 자
– ‘18~’19년 초기단계 사업에 선정되어 최종평가 결과 ‘성공’판정을 받은 기업 중 〈붙임 2〉 참여 자격 요건에 해당하는 자(Fast Track)
ㆍ 성장 잠재력이 우수한 기업에 대해 업력 기준(창업 3년 이상)에 관계없이 창업도약패키지 사업 참여 기회 제공(지원규모의 15% 이내)
지원조건 및 내용
ㅇ 지원규모 : 총 540개사 내외(①스케일업 390개사 내외, ②혁신성장 150개사 내외)
– 모집구분 : 신청 시 지원분야는 선택하지 않으며, R&D 연계는 혁신성장 플랫폼 선정기업 중 별도 접수를 통한 추천 예정
분야
|
자격 요건
|
지원한도
|
|
①스케일업 플랫폼
|
데스밸리를 극복하고 고성장기업으로 성장하고자 하는 3~7년차 기업
|
최대 2억원
(평균 1억원)
|
|
②혁신성장 플랫폼
|
혁신성장이 가능한 3~7년차 고성장기업*
* 〈붙임 1〉 세부자격요건 확인
|
최대 3억원
(평균 1.7억원)
|
|
R&D 연계
|
※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전략형 창업과제 자격요건 해당기업 대상 선정 후 연계 추천
|
최대 4억원
|
* 세부 지원분야는 최종선정 시 확정되며, ‘혁신성장 플랫폼’ 자격 요건 관련 증빙자료는 1단계 서류평가 통과 시 주관기관 별도 안내에 따라 제출
** 초기창업패키지 등 초기단계 사업 수혜 완료 기업 중 신청 가능 자격요건 〈붙임 2〉 참고
ㅇ 지원내용 : 사업화 자금 및 특화프로그램
지원 구분
|
지원 세부사항
|
비고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사업화 자금
|
ㅇ 사업모델(BM)개선, 아이템 검증ㆍ보강 등 “매출증대” 및 “시장진입‧검증” 등에 소요되는 자금 지원(협약기간 : 10개월 이내)
* 선정 시, 평가 결과에 따라 정부지원금 차등 지원
〈 정부지원금 한도 및 지원기간 〉
〈 총 사업비 구성 〉
* 현물은 창업기업 대표자 본인 및 사업화 수행에 직접 참여하는 기 고용인력의 인건비, 사무실 임차료, 보유 기자재 등으로 부담
〈 사업비 구성 예시 〉
|
정부지원금
혁신성장 플랫폼
: 최대 3억원
스케일업플랫폼
: 최대 2억원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특화
프로그램
|
ㅇ 전담ㆍ주관기관이 제공하는 특화프로그램 등 지원
* (주관기관 역할) 협약기간 내 성장촉진프로그램 및 특화분야에 대한 사업화 지원, 사업화 일정 및 사업비 집행 관리 등을 지원
– (특화프로그램) 도약기 창업기업의 성과창출 및 성장지원을 위해 전담기관 통합프로그램과 주관기관별 특화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지원
* 교육, 멘토링, IR, 네트워킹 등
|
–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
R&D
|
ㅇ 혁신역량이 우수한 창업기업을 위한 기술개발(R&D) 비용지원
* R&D연계는 혁신성장 분야로 선정된 기업에 한하여 추후 별도 신청 및 평가 절차 안내 예정(선정규모 미정)
|
R&D 정부지원금
최대 4억원(2년간)
|
ㅇ 지원기간 : 선정 후 10개월 이내(’20.4월 ~ ’21.2월 예정)
※ 2020년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 사업화지원 창업기업 모집공고에 대한 창업진흥원 오프라인 통합 사업설명회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진행사항을 고려하여 추후 공지드릴 예정입니다.
신청방법 및 서류
– K-스타트업(www.k-startup.go.kr)ㅇ 신청 서류 : 신청서
가점우대제도
ㅇ 가족친화기업 인증
ㅇ 내일채움공제 가입기업
ㅇ 미래성과공유제
ㅇ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사업장
ㅇ 인재육성형중소기업지정서
ㅇ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기업
ㅇ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가입기업
ㅇ 노사문화우수기업
ㅇ 인적자원개발우수기업
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
주관기관 | 창업진흥원 | 담당부서 | 사업담당부서 |
---|---|---|---|
전화번호 | 국번없이 1357 | 홈페이지URL | https://www.kised.or.kr/ |
담당자명 | 사업담당자 |
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
접수기관 | 창업진흥원 | 담당부서 | 사업담당부서 |
---|---|---|---|
전화번호 | 국번없이 1357 | 홈페이지URL | https://www.kised.or.kr/ |
담당자명 | 사업담당자 |
기타사항
문의처
ㅇ 중소기업통합콜센터(국번없이 1357)
ㅇ 주관기관
No
|
소재지
|
주관기관
|
연락처
|
이메일
|
|
1
|
서울
|
(주)엔슬파트너스
|
02-6339-2976
|
csh1115@enslpartners.com
|
|
02-6339-2963
|
lhy@enslpartners.com
|
||||
2
|
한국보건산업진흥원
|
02-2095-1749
|
bio2000@khidi.or.kr
|
||
02-2095-1752
|
newcenter@biohub.kr
|
||||
3
|
경기
|
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
|
070-4163-6899
|
psw82@ccei.kr
|
|
070-4164-4284
|
ryun4785@ccei.kr
|
||||
4
|
부천산업진흥원
|
070-7094-5457
|
ddilna@bizbc.or.kr
|
||
070-7094-5458
|
shootingboy@bizbc.or.kr
|
||||
5
|
인천
|
인천테크노파크
|
032-250-2151
|
x-ray@itp.or.kr
|
|
032-250-2152
|
swlee@itp.or.kr
|
||||
6
|
강원
|
강원도경제진흥원
|
033-749-3306
|
andrewhur@gwep.or.kr
|
|
033-749-3348
|
sehee@gwep.or.kr
|
||||
7
|
경북
|
대구대학교
|
053-850-4387
|
doyak@daegu.ac.kr
|
|
053-850-4385
|
doyak@daegu.ac.kr
|
||||
8
|
대구
|
경북대학교 테크노파크
|
053-939-6198
|
하단의 [첨부파일] 참조
|
|
053-939-6197
|
towang@knu.ac.kr
|
||||
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
|
053-759-8149
|
wschoi@ccei.kr
|
|||
9
|
|||||
053-759-8614
|
leejy7@ccei.kr
|
||||
10
|
울산
|
울산경제진흥원
|
052-700-7899
|
seungmin@uepa.or.kr
|
|
052-710-3098
|
hjkwon@uepa.or.kr
|
||||
11
|
부산
|
(재)부산디자인진흥원
|
051-950-1220
|
yoon@dcb.or.kr
|
|
051-950-1221
|
mhseo@dcb.or.kr
|
||||
12
|
경남
|
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
|
055-291-9356
|
soso@ccei.kr
|
|
055-291-9359
|
msj@ccei.kr
|
||||
13
|
한국세라믹기술원
|
055-792-2772
|
skypark0@kicet.re.kr
|
||
055-792-2794
|
khlee@kicet.re.kr
|
||||
14
|
광주
|
(재)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
|
062-350-9343
|
director@gitct.or.kr
|
|
062-223-1256
|
nohkuk@gitct.or.kr
|
||||
15
|
전북
|
(재)한국탄소융합기술원
|
063-219-3564
|
lawlds@kctech.re.kr
|
|
063-219-3567
|
paplin@kctech.re.kr
|
||||
16
|
대전
|
한국수자원공사
|
042-629-2543
|
hyungku@kwater.or.kr
|
|
042-629-2546
|
eunjuj@kwater.or.kr
|
||||
17
|
충청
|
서원대학교 산학협력단
|
043-299-8690
|
하단의 [첨부파일] 참조
|
|
043-299-8692
|
for8648@seowon.ac.kr
|
첨부문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