창업 7년 이내의 기술 및 콘텐츠 스타트업 2차 콘텐츠 기업 연계 지원사업
사업개요
국내 기술 및 콘텐츠 스타트업 발굴ㆍ육성을 위하여 사업화자금, 콘텐츠 기업 등 파트너사와의 비즈니스 협업, 부스트업 프로그램, 데모데이 등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.
☞ 창업 7년 이내의 기술 및 콘텐츠 스타트업
☞ 최대 5천만원 지원
지원분야 및 대상
ㅇ 지원대상 : 다양한 장르‧기술이 융합 가능한 창업 7년 이내의 기술 및 콘텐츠 스타트업
※ 법인사업자에 한하며, 공고일 기준 회사 설립일로부터 만 7년까지 인정(법인설립일 : 2013년 4월 1일 이후)
※ 콘텐츠 창작 과정(기획·개발·제작·생산·유통·소비 등)에 혁신적 요소(기술의 혁신적 결합·활용 등)를 더하여 새로운 사업적 접근을 시도하는 스타트업
※ 제품 혹은 서비스의 비즈니스 모델이 구체적이고 개념증명이 가능한 수준의 프로토타입이 있으며, 사업화 진행단계의 스타트업
※ 전년도 우수 지원사에 한해 추가 고도화 신청 및 지원가능(단, 기 과제목표 및 협약산출물과 상이해야함)
지원조건 및 내용
ㅇ 사업기간(협약기간) : 2020.6월 ~ 2021.1월(약 8개월)
ㅇ 지원내용 : 사업화자금, 콘텐츠 기업 등 파트너사와의 비즈니스 협업, 부스트업 프로그램, 데모데이 등
구분
|
세부내용
|
① 사업화 자금
|
– 사업화 자금 지원(3개팀 내외 선정/ 각 5천만원 내외 지원)
※ 협약 후, 분할 지급(5:5) 예정
|
② 부스트업 프로그램
|
– 스타트업의 성장을 위한 실무 중심 코칭 과정 운영
ㆍ 파트너사와의 비즈니스 협력(PoC) 지원
ㆍ 워크숍, 맞춤형 멘토링(BM개선/고도화, 기술R&D, 마케팅, 투자)
ㆍ 법률, 회계, 특허, 저작권 등 각 분야별 외부 전문가 상시 1:1 컨설팅
※ 오픈이노베이션 관련 액셀러레이터 연계 지원
|
③ 파트너사와의 협력
|
(CJ ENM)
|
(LG전자)
|
|
➃ 데모데이
|
– 투자자, 기업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데모데이 개최(투자 연계 지원 등)
|
➄ 기타
|
– 스타트업콘 쇼케이스 참여 및 콘퍼런스 연사 등 관계자와의 1:1 비즈니스 미팅 기회 제공
|
ㅇ 지원규모 : 파트너사별 3개팀 내외 선발, 최대 5천만원 지원(지원금 2회 분할(5:5) 지급)
※ 세부 지원금액과 지원업체 수는 ‘선정심사위원회’에서 결정하며, 지원조건, PoC 소요금액, 실현가능성 등을 고려해 조정될 수 있음
ㅇ 지원조건 : 국고 지원금 90% + 사업자부담금 10%(현금인정, 현물제외)
※ 총사업비(A) = 국고지원금(B) + 사업자부담금(C), (사업자 부담금 비율=C/A*100)
※ 국고지원금 5천만원, 사업자 부담금 556만원 편성
※ 창업 3년 이하의 스타트업은 사업자 부담금 없음
ㅇ 지원분야
※ 파트너사 중복지원 시 사업신청서/협업계획서 각각 제출, 중복선정 시 1개사 선택
– CJ ENM
지원분야
|
내용
|
1. 디지털 대역, 아티스트 생성
|
ㅇ 드라마, 영화에 적용 가능한 디지털 대역 또는 디지털 아티스트 생성
– 딥페이크/디지털 휴먼 기술 활용 디지털 대역, 버추얼 아티스트 생성기술
|
2. 버추얼 세트 구축
|
ㅇ 영화 제작에 적용가능한 실시간 게임엔진 기반 포토리얼리스틱 디지털세트 구축
– 포토리얼리스틱 디지털 어셋 제작, 3D공간 스캐닝 기술 등
|
3. 콘텐츠 제작공정 관리 솔루션
|
ㅇ 콘텐츠 제작에 특화된 협업 및 공정관리 솔루션
– 영화, 드라마 제작환경에 특화된 협업 솔루션
|
4. 슈퍼 레졸루션(비디오 업스케일링)
|
ㅇ 이미지–동영상 고해상도 변환기술
– 화면 일부의 화질불균형 개선, 고인 영상 디지털 복원 위한 업스케일링 등
|
5. 영상 분석, 자동 편집
|
ㅇ 컴퓨터 비전 활용한 영상 분석, 영상제작 효율화를 위한 자동 편집 기술
– (영상분석) 컴퓨터비전 기술 활용한 영상 메타추출, 분류, 동영상 검색 등
– (자동편집) 하이라이트 클립, 스톡비디오 자동 생성 등
|
6. 바이오센서 활용 소비자 반응 분석
|
ㅇ 바이오센서 기술 활용한 콘텐츠 소비자 반응 분석
– 아이트래킹, 뇌파인식(EEG), 표정분석 등
|
7. AI활용 창작 보조
|
ㅇ AI, 빅데이터 활용한 스토리 창작보조 솔루션
– 시놉시스 활용 흥행예측, 공공데이터/웹 분석을 통한 트렌드 인사이트 제공 등
|
8. 기타 미디어, 영화, 음악, 공연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 자유 제안
|
– LG전자
지원분야
|
활용예정분야
|
1. AR, VR, MR 기반 실감콘텐츠 제작(마커 기반 & 마커 리스 트래킹)
|
① LG BEST SHOP 內 고객 대상 제품 홍보
② LG전자 홈페이지 접속 고객 대상 제품 홍보
③ LG전자 카탈로그 구독고객 대상 제품 홍보
④ 사내 임직원 제품 교육
※ 별첨. AR 콘텐츠 개발기획(안) 참조
|
2. 모바일 앱(App.) 제작
|
|
3. 3D 가상공간 구현
|
|
4. 실감 스토리텔링
|
|
5. 기타 LG전자 가전 연계 실감콘텐츠 아이디어 자유 제안
|
신청방법 및 서류
– e나라도움(www.gosims.go.kr)ㅇ 신청 서류 : 사업신청서, 과제신청개요, 참여인력 및 이해관계자리스트 등
가점우대제도
ㅇ 해당없음
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
주관기관 | 한국콘텐츠진흥원 | 담당부서 | 기업육성팀 |
---|---|---|---|
전화번호 | 02-6441-3035 | 홈페이지URL | http://www.kocca.kr/ |
담당자명 | 구수민 | ||
담당자 이메일 | angella@kocca.kr |
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
접수기관 | 한국콘텐츠진흥원 | 담당부서 | 기업육성팀 |
---|---|---|---|
전화번호 | 02-6441-3035 | 홈페이지URL | http://www.kocca.kr/ |
담당자명 | 구수민 | ||
담당자 이메일 | angella@kocca.kr |
기타사항
문의처
ㅇ 지원사업 관련 문의처 : KOCCA 기업육성팀 구수민 대리(02-6441-3035, angella@kocca.kr)
ㅇ 협업(PoC) 관련 문의처
ㆍ CJ ENM 이건창 과장(02-371-8162, geonchang.lee@cj.net)
ㆍ LG전자 허윤경 선임(02-2673-1061, yunkyoung.heo@lge.com)
ㅇ e나라도움 문의처(온라인 접수) : 1670-9595, 02-6676-5100
내용출처 : 중소기업경제연구소 – 벤처 창업 지원 정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