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남동구 민선 7기 일자리대책 종합계획 안내
Ⅰ. 배 경 |
□ 추진배경 및 의의
○ 일자리창출이 국정 최우선 과제로 선정되고 민선7기 구청장 핵심공약인 「일자리 중심의 혁신성장 실현」의 구체적 실행을 위한 대책 및 목표를 수립
○ 특히 실업률 증가, 인구감소 및 노령화 추세가 지속됨에 따라 국가의 고용정책과 연계할 수 있는 지역단위의 고용계획 및 협력 네트워크 절실
○ 지역의 산업구조 및 노동시장 변화에 따른 일자리 창출과 이를 뒷받침할 지원정책을 마련하여 지역 고용시장 안정을 도모
□ 추진방향
○ 민선7기 남동구는 그동안 미흡했던 청년 및 여성, 취업취약계층의 혁신적이고 창조적인 일자리사업 확충에 주력
○ 기업들의 생산력 증대와 대외 경쟁력 강화 지원사업을 통하여 상시 일자리를 확대함으로써 경제활성화로 살기좋은 남동 특구 실현
□ 계획의 범위
○ 시간적 범위
– 계획기간 : 2019 ~ 2022 (4개년)
※ 사업기간이 5년 이상을 소요하거나 계획기간의 일부에만 시행되는 사업도 포함
○ 공간적 범위
– 인천광역시 남동구 관할 행정구역 (20개동)
Ⅱ. 지역 노동시장 현황 |
1. 인구 |
□ 인구변화 및 구조
○ 전국대비 인구규모
– 남동구의 총인구는 538,352명(2018년 10월기준)으로 전국대비 약 1.04%, 인천시 인구의 18.2%를 차지하고 있으며, 남·여 인구는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최근 여성의 비율이 점차 증가.
【표】남동구 주민등록인구 현황(2018년 10월)
(단위 : 천명, %)
구 분 | 인 구 수 | |||
계 | 남 | 여 | ||
비 율 | ||||
전 국 | 51,821 | 25,866 | 25,955 | 50.1 |
인천광역시 | 2,953 | 1,481 | 1,472 | 49.8 |
남동구 | 538 | 268 | 270 | 50.2 |
※ KOSIS 주제별 통계→인구․가구→주민등록인구현황→행정구역(시군구)별 총 인구, 남자, 여자 인구수
○ 등록외국인 거주현황
– 남동산업단지에서 근무하는 외국인 근로자를 중심으로 외국인 주민, 다문화가정, 북한이탈주민이 기초단체 중 최상위 수준으로 나타남.
【표】남동구 외국인등록 변화 추이
구 분 | 2014년 | 2015년 | 2016년 | 2017년 |
전 국 | 1,091,531 | 1,143,087 | 1,161,677 | 1,171,762 |
인천광역시 | 55,323 | 57,669 | 59,103 | 62,596 |
남동구 | 12,597 | 12,504 | 12,056 | 12,181 |
(단위 : 명)
※ KOSIS 주제별 통계→인구․가구→체류외국인통계→지역 및 연령별 등록외국인 현황
□ 성별·연령별 인구구조
○ 성별 인구구조
– 남동구의 성별인구는 전체적으로는 남·여의 비중이 거의 비슷한 구조로 여성의 비율이 좀 높게 나타남.
– 40대를 기준으로 볼 때 40대 이전은 남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60세 이상에서는 여성의 비중이 최고조를 이루고 있으며, 노년층 인구는 급증하여 고령화사회로 진입하고 있음.
○ 연령별 인구구조
– 연령대를 고려한 남동구의 인구는 청년층(19.2%)>40대(17.4%)>50대(16.8%)>30대(15.7%) 순으로 높게 나타나 비교적 젊은 도시라는 분석이 가능함.
【표】남동구 성별, 연령별 주민등록인구 추이
(단위 : 천명, %)
연령 | 성별 | 2013 | 2014 | 2015 | 2016 | 2017 | 평균증감률
(‘13~’17) |
비중 |
합 계 | 계 | 507 | 515 | 531 | 531 | 536 | 1.4 | 100 |
남자 | 253 | 257 | 265 | 265 | 267 | 1.4 | 49.9 | |
여자 | 254 | 258 | 266 | 266 | 269 | 1.5 | 50.1 | |
14세 이하 | 계 | 79 | 78 | 78 | 76 | 76 | -0.9 | 14.2 |
남자 | 41 | 40 | 40 | 39 | 39 | -1.2 | 7.3 | |
여자 | 38 | 38 | 38 | 37 | 37 | -0.7 | 6.9 | |
15 ~ 29세 | 계 | 103 | 103 | 105 | 104 | 103 | 0.0 | 19.2 |
남자 | 53 | 53 | 54 | 54 | 53 | 0.0 | 9.9 | |
여자 | 50 | 50 | 51 | 50 | 50 | 0.0 | 9.3 | |
30 ~ 39세 | 계 | 87 | 86 | 88 | 85 | 84 | -0.9 | 15.7 |
남자 | 44 | 44 | 45 | 43 | 43 | -0.6 | 8.0 | |
여자 | 43 | 42 | 43 | 42 | 41 | -1.2 | 7.7 | |
40 ~ 49세 | 계 | 92 | 92 | 93 | 93 | 93 | 0.3 | 17.4 |
남자 | 46 | 46 | 47 | 47 | 47 | 0.5 | 8.8 | |
여자 | 46 | 46 | 46 | 46 | 46 | 0.0 | 8.6 | |
50 ~ 59세 | 계 | 80 | 84 | 88 | 89 | 90 | 3.1 | 16.8 |
남자 | 40 | 42 | 44 | 44 | 44 | 2.5 | 8.2 | |
여자 | 40 | 42 | 44 | 45 | 46 | 3.7 | 8.6 | |
60세 이상 | 계 | 66 | 72 | 79 | 84 | 90 | 9.0 | 16.8 |
남자 | 29 | 32 | 35 | 38 | 41 | 10.3 | 7.7 | |
여자 | 37 | 40 | 44 | 46 | 49 | 8.1 | 9.1 |
※ KOSIS 국내통계→주제별통계→인구가구→주민등록인구현황
2. 산업구조 |
□ 총 괄
○ 지역 내 총생산(GRDP) 추이
– 2015년 남동구의 총생산량은 15조9억원으로 인천시 군·구 중에서 2위(19.9%)로 나타남
– 남동구의 제조업 생산활동은 인천시의 다른 군·구에 비해 월등히 많은 생산량을 기록하고 있으며, 이는 국가산업단지인 남동인더스파크의 생산량이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보임
○ 남동구 산업의 과제
– 남동구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하는 2차산업 위주의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주민의 급격한 증가와 서비스수요의 확대로 점차 3차산업 종사자의 수가 확대되는 추세임
– 남동인더스파크는 약 6,800여개의 기업들이 입주하여 있는 대규모의 산업단지로 발전하였으나 노후화됨에 따라 인력난이 가중되고 있음
– 이에 제조업 종사자들의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지역사회의 공감대 를 형성해 나가야 할 것임
【표】남동구 지역내총생산 연도별 추이
구 분 | 2013 | 2014 | 2015 | 평균증감률
(‘13~’15) |
|
전국 | GDP(십억원) | 1,429,445 | 1,486,079 | 1,564,123 | 9.4 |
인천광역시 | GDP(십억원) | 64,654 | 69,501 | 75,675 | 17.0 |
남동구 | GRDP(십억원) | 14,357 | 15,434 | 15,095 | 5.1 |
※ 출처: KOSIS -> 국내통계 -> 주제별통계 -> 국민계정지역계정->시군구GRDP 재구성
□ 주력산업
○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
– 남동구 산업의 핵심은 남동인더스파크를 중심으로 한 제조업을 꼽을 수 있음
– 최근 요양산업과 건강, 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보건․복지 서비스업의 상승세가 돋보임
– 대규모 택지개발로 인한 인프라 확대로 건설업, 부동산 임대업 시설관리업 등이 점차 증가함
【표】남동구 주력산업별 사업체수, 종사자수
(단위:개,명,%)
규 모 | 사업체수 | 종사자수 | ||
2012 | 2015 | 2012 | 2015 | |
전 체 | 33,430 | 36,712 | 195,141 | 223,345 |
100.0 | 100.0 | 100.0 | 100.0 | |
주력산업 합계 | 20,504 | 22,442 | 130,999 | 145,228 |
61.3 | 61.1 | 67.1 | 65.0 | |
제조업 | 6,415 | 7,225 | 81,224 | 86,379 |
19.2 | 19.7 | 41.6 | 38.7 | |
보건∙복지서비스업 | 1,040 | 1,265 | 10,321 | 15,037 |
3.1 | 3.4 | 5.3 | 6.7 | |
숙박∙음식점업 | 5,376 | 5,785 | 15,971 | 18,518 |
16.1 | 15.8 | 8.2 | 8.3 | |
도∙소매업 | 7,673 | 8,167 | 23,483 | 25,294 |
22.9 | 22.2 | 12.1 | 11.3 |
※ 출처: 남동구 사업체통계조사보고서(2012년, 2015년 기준)
3. 고용동향 |
□ 일자리 구조
○ 여성일자리수의 증가로 남성일자리수의 비중은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임 (12년 59.6% → 16년 57.6%)
○ 2016년 기준 남동구의 종사상지위별 일자리수는 상용직 일자리, 자영업, 임시․일용일자리 순서임
○ 전체 일자리수 대비 상용직 일자리 비중은 68.3%로 전국(64.4%)은 물론 인천시(65.5%), 7대 특․광역시(65.0%)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안정적인 일자리가 상대적으로 많다는 것을 의미함
【표】성별,종사상지위별 일자리수
구 분 | 일자리수 | |||||||
성별 | 종사상지위별 | |||||||
남 | 여 | 자영업자
무급가족 |
상용 | 임시일용 | 기타 | |||
일자리수
(개) |
전국 | 21,259,243 | 12,194,216 | 9,065,027 | 3,889,063 | 13,692,110 | 2,712,045 | 966,025 |
인천시 | 1,004,783 | 568,102 | 436,681 | 189,377 | 658,314 | 111,215 | 45,877 | |
남동구 | 224,099 | 129,188 | 94,911 | 36,143 | 153,030 | 26,846 | 8,080 | |
7대
특․광역시 |
10,127,777 | 5,683,894 | 4,443,883 | 1,746,771 | 6,578,327 | 1,326,530 | 476,149 | |
구성비
(%) |
전국 | 100.0 | 57.4 | 42.6 | 18.3 | 64.4 | 12.8 | 4.5 |
인천시 | 100.0 | 56.6 | 43.4 | 18.8 | 65.5 | 11.1 | 4.6 | |
남동구 | 100.0 | 57.6 | 42.4 | 16.1 | 68.3 | 12.0 | 3.6 | |
7대
특․광역시 |
100.0 | 56.1 | 43.9 | 17.2 | 65.0 | 13.1 | 4.7 |
※ 출처: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 및 남동구사업체통계조사보고서(2016년 기준)
< 최근 5년간 일자리예산 동향 >
(단위 : 억원, %)
구 분 | ’13년 | ’14년 | ’15년 | ’16년 | ’17년 | 평균증감(률)
(‘13년 대비 ’17년 기준) |
|
일자리예산 | 367 | 322 | 334 | 368 | 431 | 17.4 |
* 국비사업 및 자치단체 자체사업 포함
4. 기타 |
□ 남동구 현황 및 지역특성
○ 지리적으로 동쪽으로는 경기도 시흥시, 서쪽으로는 인천 미추홀구, 연수구, 북쪽으로는 인천 부평구와 경기도 부천시, 그리고 남쪽으로는 송도경제자유구역과 인접
○ 제2⋅3경인고속도로, 영동고속도로, 서울외곽순환도로, 경인선(지하철 1호선), 인천도시철도, 수인선이 관통하는 교통 요충지
○ 인천시청, 인천시교육청,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, 농산물도매시장, 소래포구, 인천대공원, 각종 업무시설 등 행정, 문화, 금융, 경제의 주요기관이 밀집되어 있고, 특히 남동국가산업단지는 9.57㎢의 부지에 6,800여 개의 기업이 밀집되어 인천시 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함
○ 남동구의 면적은 57.05㎢로 인천광역시의 5.4%를 차지하고 있으며(인천에서 강화군, 서구, 중구에 이어 네 번째에 해당함), 국가산업단지인 남동인더스파크를 포함한 공장용지가 6.47㎢로 산업의 중심지이며 녹지지역이 전체 도시지역의 50.7%를 차지하고 있어 도시와 자연이 어우러진 친환경 도시임
【표】용도별 토지이용현황(2018년, 9월 기준)
(단위:㎢,%)
구 분 | 계 | 용도별 | 미지정 | |||
주거지역 | 상업지역 | 공업지역 | 녹지지역 | |||
면 적 | 57.37 | 15.89 | 1.99 | 10.11 | 29.10 | 0.28 |
구성비 | 100 | 27.7 | 3.5 | 17.6 | 50.7 | 0.5 |
※ 출처 : 남동구 홈페이지(2018.9월기준)
□ 재정 및 행정여건
○ 일자리 사업예산의 증가
– 2018년도 기준 총예산액은 7,265억원이며, 재정자립도는 33.3%이고 재정자주도는 43.6%로 나타나고 있음
– 재정자립도 약화되고 있으나 일자리예산의 비중은 점차 늘어나 일자리에 대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임
○ 일자리사업 전담조직 구성
– 남동구는 2018년 현재 공무원 1인이 607명의 주민을 담당해야 하는 상황으로 이는 전국에서도 가장 많은 주민수를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.
– 2011년 이후 일자리 전담부서를 마련하여 공인 전문 취업상담사 등을 고용하여 적극적으로 일자리 창출 사업 추진
– 민선7기에서는 일자리 부서의 증원으로 각 세부사업의 일자리 창출 모니터링 강화
구분 | 2014 | 2015 | 2016 | 2017 | 2018 | 증감률
(‘14~’18) |
총예산(a) | 527 | 535 | 581 | 640 | 726 | 37.8 |
재정자립도(b) | 35.3 | 33.9 | 33.1 | 33.7 | 33.3 | -5.7 |
재정자주도(c) | 43.8 | 42.5 | 42.9 | 46.7 | 43.6 | -0.5 |
일자리사업예산(d) | 32 | 33 | 37 | 43 | 45 | 40.7 |
일자리사업예산비중(d/ax100) | 6.1 | 6.2 | 6.4 | 6.7 | 6.2 | 1.6 |
공무원 정원 | 915 | 948 | 949 | 1,006 | 1,059 | 15.7 |
일자리담당 공무원 수 | 14 | 14 | 13 | 13 | 14 | – |
※ 출처 :KOSIS 지역통계→e-지방지표→주제별→성장과 안정→재정자주도/재정자립도
□ SWOT 분석
내부환경
외부환경 |
강점(Strength) | 약점(Weakness) |
• 남동인더스파크가 위치하고
있어 상용일자리가 많음 • 비교적 젊은 인구 구성 • 제조업 밀집 지역으로 일자리 창출 수요가 많음 |
• 남동인더스 파크의 영세화,
노후화로 일자리 꺼림 현상 • 남동산단의 종사자중 구민 비율 저조 |
|
기회(Opportunity) | S-O 전략(확대) | W-O 전략(강화) |
• 남동인더스파크의 구조고도화
• 친환경에코산업단지 조성 • 노사민정협의회를 통한 지역고용현안사항 해결방안 모색 |
◦ 일자리 센터활성화로 남동산 단의 취업연계 강화
◦ 청년창업공간 개청으로 청년 창업 원동력 제공 ◦ 에코산업단지 활성화 |
◦ 중소기업의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지속적·체계적 지원
◦ 구민 채용기업에 인센티브 제공 ◦ 정부지원사업 참여 독려 |
위협(Threat) | S-T 전략(유지) | W-T 전략(조정) |
• 중소기업의 젊은층 취업 기피
• 높은 지가와 임대료로 인한 제조업의 원가상승 |
◦ 취업정보 및 직업에 대한
인식교육 확대 ◦ 중소기업 자금 지원을 통한 육성정책 ◦ 중소기업 역량강화사업 참여 |
◦ 청년층을 위한 지속가능한
일자리 발굴 ◦ 지역 수요에 부응하는 인력 양성 정책으로 전환 ◦ 청년창업 사관학교 참여 |
Ⅲ. 민선 7기 일자리 목표 |
|
1. 공통 일자리 목표 |
(단위 : 명, 억원)
구 분 | ‘17년 | ‘18년
(예상치) |
목표 | ||||
‘19년 | ‘20년 | ‘21년 | ‘22년 | ‘18년 대비
증감률 |
|||
고용보험 피보험자수 | 136,045 | 139,017 | 142,000 | 145,000 | 150,000 | 155,000 | 11.5 |
취업자수 | 8,666 | 9,070 | 9,400 | 9,700 | 10,000 | 10,500 | 15.8 |
일자리예산 | 431 | 448 | 455 | 465 | 475 | 485 | 8.3 |
※ 총 취업건수(워크넷 자료 등), 고용노동부(고용보험 통계)
2. 분야별 목표 |
□ 푸를나이(靑年)희망 일자리 창출
○ 청년재능나눔일자리 푸를나이 Job Con
– 찾아가는 문화공연 활동 및 기획, 문화 컨텐츠 개발
○ 꿈꾸는 청년 창업놀이터(창업 공유·공간) 조성 및 운영
– 청년 창업 입주공간 지원, 청년 취·창업 지원, 창업 컨설팅 및 교육
(단위 : 명, 백만원)
세부사업명 | 합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|
푸를나이 Job Con | 인원 | 230 | 55 | 55 | 60 | 60 |
예산 | 3,859 | 909 | 950 | 1,000 | 1,000 | |
청년 창업 공유·공간 | 인원 | 1,000 | 200 | 250 | 250 | 300 |
예산 | 977 | 202 | 250 | 250 | 275 | |
총계 | 인원 | 1,230 | 255 | 305 | 310 | 360 |
예산 | 4,836 | 1,111 | 1,200 | 1,250 | 1,275 |
□ 취업취약계층 자립을 위한 일자리 창출
○ 고령자친화기업 ㈜보네베이커리 운영
– 제과·제빵기업으로 노인일자리 창출
– 기술 교육·지원으로 시니어 창업 지원
○ 장난감 수리센터 설치 · 운영
– 노년층 일자리 제공과 재능나눔을 통한 사회공헌 활동 기회 제공
– 고장난 장난감 무료 수리 서비스 제공 등
○ 경력단절여성 4차 산업 분야 맞춤형 교육 과정
– 방과후 학교, 진로체험장 등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전문교육 지원
○ 장애인 일자리 지원 및 IT교육 지원
– 장애인 일자리 제공 및 사회참여 유도
○ 지역공동체 · 공공근로 일자리사업
– 중소기업 연계 공동작업장, 정보화사업, 환경정비사업 등
(단위 : 명, 백만원)
세부사업명 | 합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|
고령자 친화기업 ㈜보네베이커리 운영 | 인원 | 125 | 25 | 30 | 35 | 35 |
예산 | 비 예산 – | |||||
장난감 수리센터
설치·운영 |
인원 | 34 | 4 | 10 | 10 | 10 |
예산 | 235 | 40 | 65 | 65 | 65 | |
경력단절여성 4차산업 분야 맞춤형 교육 | 인원 | 210 | 40 | 50 | 60 | 60 |
예산 | 170 | 30 | 40 | 50 | 50 | |
장애인 일자리 지원 및 IT교육 지원 | 인원 | 529 | 124 | 130 | 135 | 140 |
예산 | 534 | 126 | 132 | 136 | 140 | |
지역공동체·공공근로 일자리사업 | 인원 | 570 | 135 | 140 | 145 | 150 |
예산 | 2,758 | 658 | 680 | 700 | 720 | |
총계 | 인원 | 1,468 | 328 | 360 | 385 | 395 |
예산 | 3,697 | 854 | 917 | 951 | 975 |
□ 지역맞춤형 고용서비스 강화
○ 북한이탈주민 지원 정책 강화
– 맞춤형 프로그램개발 및 보호체계 확충
○ 남동형 사회공헌 일자리 사업
– 전문지식이나 기술 등 재능나눔을 통한 다양한 사회공익서비스 제공
○ 남동구 일자리 센터 운영 활성화
– 구인 구직 상담 및 알선, 취업 사후관리
(단위 : 명, 백만원)
세부사업명 | 합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|
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강화 | 인원 | 430 | 100 | 100 | 110 | 120 |
예산 | 874 | 212 | 212 | 220 | 230 | |
남동형 사회공헌 일자리사업 | 인원 | 370 | 80 | 90 | 100 | 100 |
예산 | 1,250 | 275 | 305 | 335 | 335 | |
남동구 일자리센터 운영 활성화 | 인원 | 96 | 24 | 24 | 24 | 24 |
예산 | 3,992 | 992 | 1,000 | 1,000 | 1,000 | |
총계 | 인원 | 896 | 204 | 214 | 234 | 244 |
예산 | 6,116 | 1,479 | 1,517 | 1,555 | 1,565 |
□ 사회적경제기업 발굴·육성 및 지원
○ 사회적기업 및 마을기업 발굴 · 육성
– 사회적기업, 마을기업 재정지원, 발굴 육성 및 사후관리
○ 사회적경제조직 지원
– 사회적경제 교육사업, 창업아이디어 공모, 사회적기업 홍보 등
(단위 : 명, 백만원)
세부사업명 | 합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|
사회적기업 및 마을기업 발굴·육성 | 인원 | 860 | 200 | 210 | 220 | 230 |
예산 | 10,583 | 2,449 | 2,571 | 2,699 | 2,864 | |
사회적경제조직 지원 | 예산 | 332 | 77 | 81 | 85 | 89 |
총계 | 인원 | 860 | 200 | 210 | 220 | 230 |
예산 | 10,915 | 2,526 | 2,652 | 2,784 | 2,953 |
□ 남동인더스파크 재창조·신성장 프로젝트
○ 구민채용기업 임금지원 사업
– 구민의 고용률 향상을 위한 기업체 일정 임금 지원
○ 중소기업체 1인1사 구민채용 운동
– 구민채용 기업체 인센티브 지원사업 등 일자리 지원사업 안내
○ 남동국가산업단지 공동통근버스 운행사업 및 기숙사지원
– 지역 산업 기반인 남동국가산업단지에 대한 고용환경 개선
○ 노사민정 협력사업 활성화
– 노사민정의 협력으로 고용거버넌스 구축
(단위 : 명, 백만원)
세부사업명 | 합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|
구민채용기업 임금지원 | 인원 | 860 | 200 | 210 | 220 | 230 |
예산 | 2,120 | 500 | 520 | 540 | 560 | |
중소기업체 1인1사 구민채용 운동 | 인원 | 9,000 | 1,500 | 2,000 | 2,500 | 3,000 |
예산 | 비 예산 – | |||||
남동국가산업단지 공동통근버스·기숙사지원 | 인원 | 520 | 130 | 130 | 130 | 130 |
예산 | 3,760 | 940 | 940 | 940 | 940 | |
노사민정 협력사업 활성화 | 예산 | 23 | 5 | 6 | 6 | 6 |
총계 | 인원 | 10,380 | 1,830 | 2,340 | 2,850 | 3,360 |
예산 | 5,903 | 1,445 | 1,466 | 1,486 | 1,506 |
□ 친환경에코산업단지 조성으로 새로운 일자리 창출
○ 남촌 일반산업단지 조성
– 지역에 산재된 공장의 집약화를 위한 대체 산업단지 조성
○ 남동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
– 전자·정보산업, 연구개발 등의 집약화를 위한 산업단지 조성
(단위 : 명, 백만원)
세부사업명 | 합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|
남촌일반산업단지 조성 | 인원 | 13,381 | – | – | – | 13,381 |
사업비 | 219,808 | 2,073 | 102,478 | 95,735 | 19,521 | |
남동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 | 인원 | 3,417 | – | – | – | 3,417 |
사업비 | 1,685 | 593 | 594 | 249 | 249 | |
총계 | 인원 | 16,798 | – | – | – | 16,798 |
예산 | 221,493 | 2,666 | 103,072 | 95,984 | 19,770 |
Ⅳ. 전략 및 과제 |
핵심전략 | 10대 실천과제 | |
푸를나이(靑年)
희망일자리 창출 |
⇒ | 1. 청년 재능나눔 일자리 푸를나이 Job Con
2. 꿈꾸는 청년 창업놀이터(공유·공간)조성 |
취업취약계층
자립을 위한 일자리 창출 |
⇒ | 3. 고령자친화기업(주)보네베이커리 운영
4. 경력단절여성 4차산업 분야 맞춤형 교육 |
지역맞춤형
고용서비스 강화 |
⇒ | 5. 북한이탈주민 지원 정책 강화
6. 남동형 사회공헌 일자리 사업 |
사회적경제기업
발굴·육성 및 지원 |
⇒ | 7. 사회적경제기업 발굴·육성 및 지원 |
남동인더스파크 재창조·신성장프로젝트 |
⇒ |
8. 구민채용 임금 지원 9. 남동국가산업단지 공동통근버스 운행사업 및 기숙사지원 |
친환경에코산업단지 조성으로 새로운 일자리 창출 |
⇒ |
10. 남촌 일반산업단지 조성 |
1. 청년재능나눔일자리 푸를나이(靑年) Job Con |
□ 추진목적 및 배경
○ 문화공연 전문 비영리단체와의 상생 협력(파트너쉽)으로 지속적 발 전가능성이 있는 청년 예술인의 일자리사업으로 추진
□ 사업내용
○ 참여대상 : 만18세~39세 남동구 거주 청년 미취업자 50명
○ 주요내용 : 실용음악, 클래식, 연극 등 문화예술 기획 및 공연
구 분 | 내 용 |
찾아가는 문화공연
활동 및 기획 |
▷ 경로당 노인여가문화 활동지원 및 사회복지시설 위문활동
▷ 다중집합장소(공원, 전철역 등) 길거리 공연 ▷ 남동공단 근로자 및 기업 행사지원 ▷ 재래시장 활성화 지원 및 지역주민 요청 행사 지원 |
다양한 문화 콘텐츠
개발 및 일자리사업 홍보 |
▷ 야외상설 공연 프로그램 운영(늘솔길공원, 인천대공원)
▷ (특화)청년 문화거리 붐 조성 (구월동 로데오, 소래) ▷ 블로그 제작 운영 및 SNS(페이스북, 유튜브) 홍보 활동 |
□ 기대효과
○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있는 청년 예술인들에게 안정적인 일자리 를 제공
○ 지역주민에게 찾아가는 공연을 제공하고 우리 지역에 맞는 문화 컨텐츠 개발 육성
□ 연차별 추진계획
(단위 : 명, 백만원)
구 분 | 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|
성과목표 | 230 | 55 | 55 | 60 | 60 | |
예산 | 3,859 | 909 | 950 | 1,000 | 1,000 |
2. 꿈꾸는 청년 창업놀이터 조성·운영 |
□ 추진목적 및 배경
○ 정부 최우선과제 청년실업문제 해소, 청년창업 활성화를 위한 청년창업 공유 공간(space of sharing)조성 및 청년일자리 인프라 거점 구축
□ 사업내용
○ 규 모 : 전용 622.09㎡/ 선수촌공원로5, 테크노밸리지식산업센터
○ 주요시설
– 창업존(카페테리아), 사무공간(10개팀), 코워킹스페이스, 미팅룸,
팹랩(시제품제작실), 공유OA, 공유주방, 전시관 등
○ 주요내용
– 청년 취·창업 역량강화
– 청년 네트워킹 활성화
– 청년 일자리 거버넌스 구축
– 일자리 특화사업 발굴 추진 (4차 산업 혁명 관련 사업 등)
□ 기대효과
○ 청년실업문제 해소 및 청년창업 활성화
○ 청년 창업에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창업공간 조성 지원
○ 청년들이 상호 소통․교류의 장으로 활용하여 청년 문제의 자발적
해소 및 취․창업 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
□ 연차별 추진계획
(단위 : 명, 백만원)
구 분 | 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|
성과목표 | 1,000 | 200 | 250 | 250 | 300 | |
예산 | 977 | 202 | 250 | 250 | 275 |
3. 고령자친화기업 [주]보네베이커리 운영 |
□ 추진목적 및 배경
○ 정부복지정책에 부합하는 보건복지부 지정 고령자 친화기업으로, 노인인력 활용을 위한 양질의 노인일자리 창출
□ 사업내용
○ 설 립 일 : 2015. 11. 9.
○ 직원현황 : 25명
○ 점포현황 : 1호점(남동복지관), 2호점(남동구청점)
○ 주요내용
– 자동화시스템의 수작업 위주 수제건강빵 생산, 틈새시장 공략 및 고용확대와 이익 창출을 도모
– 유기농 및 천연재료 사용·생산, 제조공정에 대해 특허 취득한 경쟁력있는 제품 제조 및 판매사업
– 소자본 창업 지원자에 대한 수제빵, 카페 창업지원 및 기술교육
□ 기대효과
○ 소자본 시니어 창업자에 대한 창업지원 및 기술교육으로 자립 지원
○ 노인적합형 일자리 창출로 고령화 인구층의 사회참여 기회확대,
지속적인 사업연계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
□ 연차별 추진계획
(단위 : 명, 백만원)
구 분 | 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|
성과목표 | 125 | 25 | 30 | 35 | 35 | |
예산 | 비 예산 – |
4. 경력단절여성 4차산업 분야 맞춤형 교육 |
□ 추진목적 및 배경
○ 4차 산업혁명 시대적 수요에 맞는 인력을 양성하고 경력단절여 성의 경제활동 참여기회를 확대
□ 주요내용
○ 사업대상 : 관련산업에 취업을 희망하는 30 ~ 40대 여성
○ 교육분야 : 소프트웨어 코딩‧메이커 강사(매니저) 양성과정
– 4차 산업의 이해 및 SW 학교 교육과정‧교육정책 안내
– 코딩 교육안에 대한 이론교육 및 실전교육
– 실습(일일캠프) 교육안 구성 및 강의 실습 피드백
○ 주요내용
– 교육 위탁업체 강사로 취업연계
– 초‧중‧고등학교에 홍보 및 방과후 프로그램 등 취업 알선
– 교육참여자 만족도 조사 및 사업결과 분석
□ 기대효과
○ 4차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도래에 따른 융합형 핵심인재 발굴
○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 촉진을 도모함으로써 여성의 경제적 자립과 사회 참여를 통한 자아실현에 이바지
□ 연차별 추진계획
(단위 : 명, 백만원)
구 분 | 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|
성과목표 | 210 | 40 | 50 | 60 | 60 | |
예산 | 170 | 30 | 40 | 50 | 50 |
5.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 강화 |
□ 추진목적 및 배경
○ 북한이탈주민의 안정적인 지역사회 조기정착을 위한 실질적·효 율적인 맞춤형 일자리정책사업 추진
□ 사업내용
○ 맞춤형일자리를 위한 취업지원체계 구축 및 활성화
– 사업대상 : 북한이탈주민 구직자, 신규전입북한이탈주민
– 주요내용 : 취업상담, 구인업체발굴, 동행면접, 취업 후 관리
○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일자리한마당 개최
– 주요내용 : 1:1 현장면접, 직업적성검사, 취업상담 등
– 사후관리 : 채용여부 확인 및 미취업자 재알선
– 운영체계 : 취업관련 기관·단체·부서 연계 추진
○ 북한이탈주민 정착 및 취업 교육
– 일 시 : 상·하반기 연중 2회/ 필요시 수시
– 교 육 명 : 북한이탈주민 정착 및 취업 교육
– 교육방향 : 정착·취업에 필요한 기본적 소양교육 실시
□ 기대효과
○ 북한이탈주민들이 지역사회구성원으로서 자긍심 함양과 사회적 일익을 담당할 수 있는 토대 마련
○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자립을 통한 지역사회 안정적 정착 도모
□ 연차별 추진계획
(단위 : 명, 백만원)
구 분 | 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|
성과목표 | 430 | 100 | 100 | 110 | 120 | |
예산 | 874 | 212 | 212 | 220 | 230 |
6. 남동형 사회공헌 일자리 사업 |
□ 추진목적 및 배경
○ 50+ 베이비부머 퇴직자 등 장년층 일자리 창출과 재능나눔을 통한 자아실현으로 사회공헌활동 기회 부여
□ 사업내용
○ 참여대상 : 만50세~67세 남동구 거주자
○ 주요내용
사업명 | 주 요 내 용 | 인원 | |
보
람 일 자 리 |
① 맞춤형 복지파트너 |
* 소외계층 가정방문 서비스
– 안부확인, 청소, 세탁, 심부름 등 생활불편해소 |
70명
동별 2~5명 |
* 맞춤형복지 사례관리 서포터
– 독거노인 및 1인가구 실태조사, 고독사 예방 – 지역사회자원연계 지원 |
|||
* 행복찬(도시락, 밑반찬) 배달 서비스
* 기타 (동)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제안사업 |
|||
재
능 나 눔 일 자 리 |
② 이웃집
만능수리공 |
* 주거취약계층 생활환경개선(total service)
– 전구교체, 전기점검, 생활가전제품 점검 등 |
10명
내외 |
③ 사회공익
서비스 |
* 자원재생사업(비누제작, 우산수리 등)
* 공익사회서비스 제안 및 발굴사업 |
20명
내외 |
□ 기대효과
○ “복지와 일자리를 한번에” 보람된 일자리를 제공하고 어려운 이웃을 돕는 행복한 남동 조성
□ 연차별 추진계획
(단위 : 명, 백만원)
구 분 | 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|
성과목표 | 370 | 80 | 90 | 100 | 100 | |
예산 | 1,250 | 275 | 305 | 335 | 335 |
7. 사회적경제기업 발굴·육성 및 지원 |
□ 추진목적 및 배경
○ 혁신적인 사회적기업 발굴·육성 및 판로확보 지원으로 자생력 강화
○ 투명한 사회적기업 재정지원 및 사후관리
○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통한 마을기업 육성
□ 사업내용
○ 사회적기업 집중발굴
– 남동형 (예비)사회적기업 발굴 : 맞춤형 컨설팅, 교육
– 기업별 맞춤형 컨설팅 : 컨설팅 전문기관 연계한 방문 컨설팅
– (예비)사회적기업 재정지원 : 일자리창출비, 사업개발비 등
○ 마을기업 육성
– 사업대상 : 마을공동체, 지역NPO, 법인, 협동조합 등
– 사업내용
⋅자립형 마을기업 활성화 : 재지정에 따른 2차 사업비 지원
⋅신규(예비)마을기업 육성 추진 : 컨설팅 지원을 통한 신규 기업 발굴
□ 기대효과
○ 사회적 가치를 최상으로 하는 사회적경제조직 육성으로 양질의
일자리 및 사회서비스 확충
○ 사람중심의 경제조직 확산을 통한 나눔의 기업분위기 조성
□ 연차별 추진계획
(단위 : 명, 백만원)
구 분 | 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|
성과목표 | 860 | 200 | 210 | 220 | 230 | |
예산 | 10,583 | 2,449 | 2,571 | 2,699 | 2,864 |
8. 구민채용기업 임금 지원 |
□ 추진목적 및 배경
○ 안정적․생산적 일자리 창출에 공공부문의 선도적 역할 강화
○ 구인․구직난을 겪는 기업체 등 민간부문 고용확대 유도
□ 사업내용
○ 대 상 자 : 남동구 거주 구직자(일반, 청년)로 대상기업에 채용된 자
○ 대상기업 : 남동구에 사업장을 둔 중소기업체
○ 지원내용 (2019년 기준)
분 야 | 인원(명) | 지 원 내 용 |
계 | 200 | ○ 지원금액 : 남동구 생활임금 기준(근로자 기본급)
– 이상 : 1인당 80만원 – 미만 : 1인당 40만원 ○ 지원기간 : 최대 4개월 지원 ※ 청년, 고령자 채용 시 20만원 추가 지원 |
청 년 | 70 | |
일 반 | 100 | |
고령자 | 30 |
□ 기대효과
○ 남동산단에 입주한 기업들이 남동구민을 우선적으로 채용할 수
있도록 인센티브 지원 제도 확대를 통해 남동구 취업률 제고
□ 연차별 추진계획
(단위 : 명, 백만원)
구 분 | 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|
성과목표 | 860 | 200 | 210 | 220 | 230 | |
예산 | 2,120 | 500 | 520 | 540 | 560 |
9. 남동국가산업단지 공동통근버스 운행 및 기숙사 지원 |
□ 추진목적 및 배경
○ 제조업 중심 노후한 산업단지로 극심한 경영난 장기화
○ 근로자 복지 증진으로 남동산단 이미지 제고 필요
○ 고용노동부 매칭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 사업
□ 사업내용
○ 남동국가산업단지 규모 : 기업 6,800여 개, 고용 103,000명
○ 공동통근버스 운영
– 노선 4개, 45인승 버스 10대
– 무료운영, 전철역 및 도심 연계
– 일일 평균 이용자 : 1,800명
○ 기숙사 지원
– 지원내용 : 고용자 기숙사 용도로 체결한 공동주택 임차비 지원
– 지원기준 : 월 임차료의 80%지원, 기업당 10명 이내
□ 기대효과
○ 지역 산업 기반인 남동국가산업단지에 대한 고용환경 개선
○ 근로자 고용복지 증진으로 중소기업 구인난 해소
□ 연차별 추진계획
(단위 : 명, 백만원)
구 분 | 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|
성과목표 | 520 | 130 | 130 | 130 | 130 | |
예산 | 3,760 | 940 | 940 | 940 | 940 |
10. 남촌 에코산업단지 조성 |
□ 추진목적 및 배경
○ 산업단지 신규 조성을 통한 중소기업 지원 및 일자리 창출
○ 지역에 산재된 공장의 집약화를 위한 대체 산업단지 조성
□ 사업내용
○ 위 치 : 남촌동 625-31번지 일원
○ 면 적 : 267,464㎡(당초 253,352㎡)
○ 사업기간 : 2016년 ~ 2022년
○ 총사업비 : 2,147억원
– 재원확보방안 : 구비(출자금) 확보하여 추진
– 연도별 투자계획
(단위 : 백만원)
구분 | 총계 | 2018년
이전 |
2019년 | 2020년
이후 |
2021년 | 2022년 |
사업비 | 214,700 | 496 | 880 | 213,324 | ||
내 용 | 특수목적법인 설립 출자금 | 민간 PF 사업 |
□ 기대효과
– 산업단지 개발 단계
(단위 : 백만원, 인)
생산유발효과 | 부가가치유발효과 | 수입유발효과 | 고용창출 |
2,142,051 | 705,944 | 235,865 | 13,381 |
– 산업단지 생산․운영 단계
(단위 : 백만원, 인)
총생산액 | 총 종사자수 | 부양인구 | 총 유발인구 |
523,484 | 1,069 | 834 | 1,903 |
※ 조세유발 효과 : 166억
Ⅴ. 기타 |
1. 남촌 에코산업단지 재원확보 방안 |
□ 추진방향
○ 특수목적법인(SPC)을 설립하여 PF를 통한 자금조달 및 분양대금 으로 조성
○ 남동구의 채무보증, 책임분양, 미분양용지 매입확약 없이 건설출자 자의 책임준공, 사업부지 담보 등을 통한 PF 타인자본 조달
□ 재원확보방식
시 기 | 재원확보방식 | |
계획단계 | 개발계획(인허가) | ▪ 자기자본 투입 |
조성단계 | 용지보상 | ▪ 타인자본으로 사업비 조달(분양대금 발생시 우선사용) |
조성공사 | ▪ 타인자본으로 사업비 일부조달(분양대금 발생시 우선사용) | |
분양단계 (분양대금유입시작) |
▪ 분양대금을 우선적으로 총사업비로 사용하며, 부족금액 발생시 타인자본으로 조달 |
□ 연차별 추진계획
시 기 | 합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|
총사업비 | 219,808 | 2,073 | 102,478 | 95,735 | 19,521 | |
총소요자금 | 219,808 | 2,073 | 102,478 | 95,735 | 19,521 | |
총조달금액 | 219,808 | 2,500 | 102,052 | 95,735 | 19,521 | |
자기자본 | 2,500 | 2,500 | – | – | – | |
분양수입전입액 | 110,348 | – | – | 90,827 | 19,521 | |
타인자본(PF) | 107,060 | – | 102,151 | 4,909 | – | |
총분양수입금액 | 246,605 | – | – | 140,565 | 106,040 |
2. 민선7기 종합계획 집행 및 관리(모니터링) 계획 |
□ 추진목적 및 배경
○ 민선7기 일자리 종합계획의 목표달성을 위한 체계적인 모니터링 계획을 수립하여 지역고용 정책에 대한 책임성과 실효성 담보
□ 사업내용
○ 일자리위원회 설치·운영
– 목 적 : 일자리 창출과 일자리 질 개선을 위한 주요정책 입안․시 행을 효율적으로 추진
– 구 성 : 인천고용센터, 노조위원장, 기업경영자, 민간전문가 등
– 내 용 : 일자리 전문가들로 구성된 일자리위원회를 설치·운영
하여 지역일자리 정책 개발 및 지역경제 발전 이바지
○ 노사민정 협의회 및 실무협의회 운영
– 목 적 : 노사민정 파트너쉽 및 지역거버넌스 안착 도모
– 구 성 : 인천고용센터, 노조위원장, 기업경영자, 민간전문가 등
– 내 용 : 지역 고용 현안문제에 대한 토의 및 해결방안 제시,
지역 일자리창출을 위한 협력사업 추진
○ 일자리 사업 수혜자의 설문조사
– 구민채용 임금지원 대상자 및 채용설명회의 취업자를 대상으로 일자리 사업의 대한 만족도 조사
○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 : 지역별 특성에 맞는 일자리 창출 목표 제시
□ 기대효과
○ 일자리 정책 수립 및 집행에 대한 전문가의 정책 자문·제안을
통하여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여 지역경제 발전을 도모